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대사 출제경향 완전분석표
최고빈도 (연 3-5문항)
고빈도 (연 2-3문항)
중간빈도 (연 1-2문항)
1. 선사시대 출제 경향
시대 | 출제빈도 | 핵심 출제 포인트 | 주요 키워드 | 예상 문제 유형 |
---|---|---|---|---|
구석기시대 | 연 1-2문항 | • 전곡리 유적 (아슐리안) • 뗀석기 제작 기법 • 동굴 거주, 수렵·채집 |
전곡리, 주먹도끼, 찍개, 긁개, 동굴생활 | 유적지 특징 연대기 문제 |
신석기시대 | 연 2-3문항 | • 빗살무늬토기 • 농업 시작 (조, 콩) • 움집, 반달돌칼 • 씨족 사회 |
빗살무늬토기, 갈돌, 갈판, 조·콩·수수, 움집 | 생활상 문제 토기 특징 |
청동기시대 | 연 3-4문항 | • 비파형동검 • 고인돌, 거대한 무덤 • 벼농사 시작 • 계급 사회 성립 |
비파형동검, 고인돌, 쟁기, 청동거울, 지배층·피지배층 | 사회 분화 무덤 문화 청동기 특징 |
2. 고조선 출제 경향
구분 | 출제빈도 | 핵심 내용 | 주요 키워드 | 최신 출제 경향 |
---|---|---|---|---|
단군조선 | 연 1-2문항 | • 홍익인간 이념 • 단군 신화의 의미 • 청동기 문화 배경 |
단군, 홍익인간, 환웅, 환인, 삼국유사 | 신화와 역사적 사실 구분 동북공정 대응 관련 |
위만조선 | 연 2-3문항 | • 위만의 집권 (BC 194) • 철기 문화 • 중계무역 독점 • 한나라 침입으로 멸망 |
위만, 준왕, 철기, 중계무역, 한사군 | 사료 해석 문제 지도 문제 증가 |
한사군 | 연 1-2문항 | • 4군 설치 (BC 108) • 낙랑군 중심 • 철기 문화 확산 • 토착 세력 저항 |
낙랑군, 현도군, 임둔군, 진번군, 철기문화 | 문화적 영향 토착 세력 대응 |
3. 삼국시대 종합 출제 경향
국가 | 시기/왕 | 출제빈도 | 핵심 출제 포인트 | 주요 키워드 |
---|---|---|---|---|
고구려 | 연간 총 4-5문항 (최다 출제 국가) | |||
주몽(동명성왕) | 연 1문항 | • 건국신화 • 건국과정 |
주몽, 부여, 졸본, 5부체제 | |
광개토대왕 | 연 2-3문항 | • 영토 확장 • 광개토대왕비 • 고구려 전성기 |
광개토대왕비, 백제침입, 신라구원, 후연격파, 동부여정복 | |
장수왕 | 연 2문항 | • 평양 천도 • 남진정책 • 백제 한성 공격 |
평양천도, 한성함락, 개로왕, 남진정책 | |
을지문덕 | 연 2문항 | • 살수대첩 • 수나라 침입 • 국제전쟁 |
살수대첩, 을지문덕, 수양제, 30만대군, 2700명 | |
연개소문 | 연 1-2문항 | • 정변과 집권 • 당나라 침입 • 군사독재 |
연개소문, 영류왕, 정변, 대당항쟁 | |
백제 | 연간 총 3-4문항 | |||
근초고왕 | 연 2-3문항 | • 백제 전성기 • 고구려 공격 • 일본 진출 |
근초고왕, 고국원왕, 서기편찬, 칠지도, 마한통합 | |
성왕 | 연 1-2문항 | • 사비 천도 • 신라와의 관계 • 관산성 전투 |
사비천도, 한강유역, 관산성대첩, 신라배신 | |
천도 과정 | 연 2문항 | • 한성→웅진→사비 • 각 시기별 특징 |
한성, 웅진, 사비, 왕도변천 | |
신라 | 연간 총 5-6문항 (통일국가이므로 최다 출제) | |||
골품제 | 연 2-3문항 | • 신분제 특징 • 관등과의 관계 • 사회적 제약 |
성골, 진골, 6두품, 관등제, 신분제한 | |
법흥왕 | 연 1-2문항 | • 율령 반포 • 불교 공인 • 금관가야 병합 |
율령반포, 이차돈, 불교공인, 금관가야 | |
진흥왕 | 연 2-3문항 | • 한강 유역 진출 • 화랑도 창설 • 순수비 건립 |
한강유역, 화랑도, 순수비, 세속오계 | |
삼국통일 | 연 2-3문항 | • 통일 과정 • 의의와 한계 • 당군 축출 |
백제멸망, 고구려멸망, 매소성, 기벌포, 당군축출 |
4. 가야연맹 출제 경향
구분 | 출제빈도 | 핵심 내용 | 주요 키워드 |
---|---|---|---|
금관가야 | 연 1문항 | • 김수로왕 건국 • 철 생산과 교역 • 신라에 병합(532) |
김수로왕, 철기, 김해, 구형왕 |
대가야 | 연 1문항 | • 6세기 가야 맹주 • 백제와 동맹 • 신라에 멸망(562) |
고령, 우륵, 가야금, 이사부 |
5. 통일신라 출제 경향
영역 | 출제빈도 | 핵심 출제 포인트 | 주요 키워드 |
---|---|---|---|
신문왕 개혁 | 연 2-3문항 | • 녹읍 폐지 • 관료전 지급 • 국학 설치 • 9주 5소경 |
녹읍폐지, 관료전, 국학, 9주5소경, 왕권강화 |
6두품 활동 | 연 1-2문항 | • 정치적 한계 • 학문·기술 분야 • 독서삼품과 |
6두품, 왕경인, 아찬, 독서삼품과 |
불교 문화 | 연 2-3문항 | • 불국사·석굴암 • 원효·의상 • 고승과 불교사상 |
불국사, 석굴암, 원효, 의상, 화쟁사상, 화엄종 |
대외 관계 | 연 1-2문항 | • 당과의 관계 • 발해와의 관계 • 견당사 파견 |
남북국시대, 견당사, 조공관계 |
6. 시대별 문화사 출제 경향
시대 | 출제빈도 | 대표 문화재 | 특징 |
---|---|---|---|
고구려 | 연 1-2문항 | 고분벽화 (무용총, 각저총) 온돌, 굴식돌방무덤 |
역동적, 웅대함 생활상 반영 |
백제 | 연 1-2문항 | 미륵사지석탑, 정림사지오층석탑 백제금동대향로 |
세련미, 우아함 일본 전파 |
신라 | 연 2-3문항 | 금관, 천마총 분황사모전석탑, 첨성대 |
금속공예 발달 독창적 기법 |
통일신라 | 연 2-3문항 | 불국사, 석굴암 성덕대왕신종 |
불교문화 전성기 종합예술 완성 |
📚 고대사 학습 전략
1. 시대별 우선순위: 신라(통일과정) > 고구려(광개토대왕, 장수왕) > 백제(근초고왕, 천도) > 고조선(위만조선)
2. 필수 암기사항: 연대, 인명, 지명, 사건명 정확한 표기
3. 비교 학습: 삼국의 정치·사회·문화 비교표 작성
4. 사료 분석: 광개토대왕비, 삼국사기, 삼국유사 주요 내용 숙지
🏷️ 대표 기출 문제 유형
사료 해석형: “(사료 제시) 다음 비문과 관련된 왕의 업적은?”
연대기형: “다음 사건들을 시대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지도형: “지도에 표시된 지역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비교형: “고구려, 백제, 신라의 특징을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7. 최근 5년 출제 경향 변화
연도 | 주요 변화 | 신규 출제 영역 | 강화된 영역 |
---|---|---|---|
2020-2021 | 사료 해석 문제 급증 | 고고학적 발굴 성과 | 광개토대왕비 해석 |
2022-2023 | 지도 활용 문제 확대 | 동북공정 대응 관련 | 삼국통일 과정 |
2024 | 인과관계 파악 중시 | 6두품 활동 영역 | 문화사 비중 증가 |
💡 핵심 포인트: 단순 암기보다는 역사적 사고력과 종합적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