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건국 배경과 과정
시기 | 주요 사건 | 역사적 의의 |
---|---|---|
고려 말기 | 원나라 세력 약화, 명나라 건국 | 국제 정치 지형의 변화 |
1392년 | 이성계의 조선 건국 | 신진사대부의 지지를 받아 왕위에 올라 새 왕조 수립 |
건국 초기 | 정몽주 살해, 국호 ‘조선’ 확정, 한양 천도 | 고려 왕조 지지 세력 제거, 새 왕조의 기틀 마련 |
1398년 | 왕자의 난 발생 | 이방원(태종)이 정도전 등 제거, 왕권 중심 정치 확립 |
조선의 건국은 성리학적 이상을 실현하려는 신진사대부의 요구와 원나라가 북원으로 물러나고 명나라가 수립되는 국제질서 변화가 맞물린 결과였습니다.
이성계는 위화도회군을 통해 실권을 장악한 후 신진사대부의 지지를 받아 1392년 조선을 건국했습니다.
조선의 중앙 정치 체제
조선의 정치 체제는 성리학을 지배 이념으로 삼은 중앙집권적 관료제로 운영되었습니다16. 이 체제는 《경국대전》으로 법제화되어 약 500년간 유지되었습니다.
기구 | 구성 및 역할 | 특징 |
---|---|---|
의정부 |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삼정승) | 국정 총괄 |
6조 |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 | 왕의 명령 집행하는 행정 기관 |
3사 |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 관리 감찰, 정사 비판, 언론 기능 담당 |
승정원 | 왕명 출납 | 국왕의 비서 기관 |
의금부 | 국가의 큰 죄인 다스림 | 사법 집행 기구 |
한성부 | 서울의 행정과 치안 담당 | 수도 관리 |
춘추관 | 역사서 편찬과 보관 | 사관(史官)이 국왕 행위 기록 |
성균관 | 최고 교육 기관 | 유학 교육, 관리 양성 |
조선의 관리는 문반과 무반의 양반으로 구성되었고, 30등급(18품 30계)으로 나뉘었습니다.
특히 3사의 언론 기능은 권력의 독점과 부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관은 물론 왕도 함부로 막을 수 없었습니다.
지방 행정 체계
행정 구역 | 특징 | 관리 체계 |
---|---|---|
8도 | 전국을 8개 도로 구분 | 관찰사 파견 |
군현 | 약 330여 개 군현 | 수령 파견 |
향리 | 수령의 행정 실무 보좌 | 세습적 아전으로 격하 |
조선은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고을의 크기에 따라 지방관의 등급을 조정했습니다.
모든 군현에 수령을 파견하여 왕의 대리인으로서 지방의 행정·사법·군사권을 행사하게 했습니다.
또한 수령을 지휘, 감독하기 위해 8도에 관찰사를 파견하고, 수시로 암행어사를 보내기도 했습니다.
조선 정치의 특징
특징 | 내용 | 의의 |
---|---|---|
왕권과 신권의 균형 | 국왕은 이론적으로 전제군주였으나 실제로는 신료와 타협 | 절대 권력 견제 |
투명한 정치 운영 | 사관이 국왕의 행위 기록 | 공정한 정치 실현 |
언론 기능 강화 | 3사의 언론 활동 보장 | 권력 독점과 부정 방지 |
신분제 정치 | 양반 관료만 정치 참여 가능 | 사대부 중심 정치 |
조선의 정치 체제는 고려 왕조의 문무 양반체제를 답습하여 개편한 것으로, 특히 절대왕권과 양반 관료 사이의 권력 조화가 배려되었습니다.
국왕은 스스로를 절제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양반 관료와 타협하여 정치를 운영했습니다.
조선의 건국과 정치 체계 확립은 이후 약 500년간 지속된 왕조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성리학적 이상에 따른 정치 실현이라는 신진사대부의 요구가 반영된 결과였습니다.
이 체제는 태종과 세종을 거치며 더욱 공고화되었고, 《경국대전》의 완성으로 법제적 기반을 갖추게 되었습니다